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김유빈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1. 김 기자, 총선 이전과 이후, 민주당이 좀 달라진 느낌이 들어요? <br><br>간판은 같은 민주당인데요, <br><br>앞서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22대 국회 당선인으로 입성하게 될 면면들을 보면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대선 전 민주당 내 가장 큰 세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구심점으로 한 친문이었죠. <br> <br>이낙연 전 대표도 있었고요.<br> <br>여기에 경기도지사 출신인 이재명 대표가 대선 주자가 되면서 세 축이 형성됐습니다. <br> <br>런데 지난 2년 동안 문재인 전 대통령은 퇴임했고, 이낙연 전 대표는 이번 총선 과정에서 탈당했죠. <br> <br>당 대표가 된 이재명 대표와 친명계가 이번에 대거 당선되면서 현재 민주당, 이재명당이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여기에 조국이라는, 작지만 새로운 한 축이 등장한 상황입니다.<br> <br>Q2. 명실상부한 이재명 대표 체제와, 조국 대표는 어떤 관계인가요? <br><br>당장은 양측 다 '우리는 협력 관계'라고 합니다. <br> <br>민주당이 이번에 확보한 의석수, 175석이거든요. <br> <br>패스트트랙과 필리버스터 강제종료 등을 실시하려면 180석이 필요한데요. <br> <br>조국혁신당의 12석이 필요한거죠.<br> <br>조국혁신당도 민주당 도움이 필요한건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개혁적 법안들을 처리하려 할텐데 민주당 협조가 불가피하죠. <br> <br>Q3. 그렇다면 양 측이 윈윈 아닙니까? <br><br>우군인데 경쟁을 해야하는 미묘한 힘겨루기가 예상됩니다. <br> <br>조국혁신당, 선거운동 할 때처럼 민주당보다 정권 공세 수위가 훨씬 셀거거든요. <br> <br>민주당 관계자는 "조국혁신당처럼 지르기엔 민주당은 덩치가 크고, 국민들에게 안정감도 줘야한다"고 고민을 드러냈는데요.<br> <br>민주당 입장에선 한동훈 특검법, 검사장 직선제 등 조국혁신당 이슈에 끌려다니면 안된다는 걱정이 있는거죠. <br> <br>두번째, 조국혁신당이 12석을 확보하고, 조국 대표의 입지도 커졌습니다. <br> <br>이 경쟁관계가 대선까지 가는게 아니냐 변수가 생긴 건데요.<br> <br>제가 광주랑 부산 비례대표 지역별 득표 결과를 뽑아보니까요. <br> <br>조국혁신당이 더불어민주연합을 앞섰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의 지지텃밭으로 불리는 광주, 호남에서도 앞섰고, 지역구 18석 중 17석을 국민의힘이 휩쓴 부산에서도 조국혁신당이 2위를 했고요.<br> <br>다만, 이재명 대표 측이나 친명계 지도부는 현재로선 조국 대표를 큰 변수로 보지는 않는 분위깁니다. <br> <br>Q4.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, 조국 대표의 혁신당 관계 변수가 있다면요? <br><br>바로 '사법리스크' 변수가 가장 큽니다. <br> <br>이재명 대표도 조국 대표도 모두 사법리스크가 있지만, 최종 결론이 나는 타이밍은 좀 달라선데요. <br> <br>이재명 대표 재판들은 아직 1심 중이고, 1심에서 유죄가 난다 해도 당내 이재명 대표 입지는 크게 영향이 없을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반면 조국 대표는 대법원 확정판결만 남겨둔 상황이죠.<br><br>민주당 내에선 조국 대표가 만약 유죄가 확정돼 비례대표를 승계하고 조국 대표는 정치판에서 사라진다면, 조국혁신당의 동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는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